[취업 이야기] '직업전문학교(인력개발원)'에서 배우는 취업 및 기술에 대한 생각

2022. 5. 9. 10:11한마인중의 인생이야기

728x90
반응형

이건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일단 내경험이 전부라고 할 수는 없지만

과거 29살때 대화적업전문학교 그리고 31세 때 광주 인력개발원 이렇게 총 1년 4개월 정도

다녀보고 또한 많은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직업전문학교 및 인력개발원 여기서 자격증 따고 실무경험 쌓으면

다 될 거 같이 인터넷이라든지 신문 지면이라든지 많이 나온다.

과거 10여 년 전과 같이 2020년 지금도 비슷하다.

물론 전문학교나 인력개발원 자격증 딸 수 있는 곳은 분명하고

실기실습에 있어서 자재 및 장비들이 충분히 있어서 자재 장비 없어서 떨어진다 그럴 걱정 없는 곳은 맞다.

 

근데 이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느냐?

난 아니라고 본다. 난 기능직이라고 본다.

요즘 전문학교 배우는 과목 중 캐드(CAD) 관련해서 많이들 나온다.

나도 캐드에 관해 배우긴 했지만

사실 잘 모른다. 캐드나 도면작성에 관해 난 단언할 수 있는 게 캐드나 도면 설계는 재능 하고 아주 밀접하다고 생각이 많이 든다. 일단 캐드나 도면 설계에 대해 재능이 있건 없건 한두 달 해보고 안되면 바로 다른 진로를 가게끔 전문학교 선생이라든지 인력개발원 선생들은 융통성 있게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이 든다.

 

내 경험상 컴퓨터 전문 프로그램 및 기계 관련 빼고 나머지 가르치는 것들은 재능을 떠나 노력+시간 투자 잘하면 해결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다 하더라도 전문학교나 인력개발원에서 취득할 수 있는 것들은 기능직 자격증이지 기술이 아니라고 단언한다.

 

사실 전문학교나 인력개발원 다니고 있을 당시에도 수강생 몇 명은 특출 난 사람들은 누가 안 말해줘도 산업기사 및 기사 자격증 딴 사람들은 존재하긴 했으나 극히 1~2명 소수였고 그나마 좋은 기업 간 사람은 못 봤던 걸로 기억이 난다.

 

과연 전문학교나 인력개발원에 가면 취업을 할 수 있느냐에 대한 생각이다.

아마 머리 써야 하는 자격증 즉 기계나 전기 쪽을 포함하더라도

평생직장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취업하기 힘들거라 하는 게 내 생각이다.

제대로 된 월급을 받고 추후 결혼까지 예상을 한다면

중소기업 내에서도 회사에서 봉황급은 돼야 제2의 인생길이 열린다고 봐야 하는데

사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렇게 되는 게 사실 불가능이라 생각이 든다.

물론 아니란 사람들도 있겠지만

보통은 그렇더라고.!!

내 인생의 1/3을 공단에서 진짜 막일보다 못한 인생을 살았기에 하는 이야기이지만

기능직 자격증 따면 겨우 조장급 인생밖엔 안되는 거 같더라.

공단 찌꺼기 인생에서 사람대우 받을려면 산업기사자격증(전기,가스,기계) 각각 1개씩 총3개들고 다니면 찌끄래기 관리자급으로 쳐주는 거 같고 그 이상으로 대우받으려면 기사(전기, 기계) 각각 1개씩 추가해야 평사원급으로 대우받는 거 같더라.!!

돈은 그지 같이 주면서 말이지.!!

나야 전기기능사+사무자동화 산업기사 이거 이외 딱히 공단에서 쓸모 있는 자격증이 없기에

내세울 거는 없는데

하여튼 그렇더라고.!!

 

근데 기능직 자격증을  취득하더라도 실제 들어갈 수 있는 중소기업에서도 능력자(경력+멀티 되는 사람)를 뽑기 때문에

실제 취업할 곳은 별로 없다.

같은 최저시급 주는 공단이나 편의점이나 최저시급 주는 편의점 일자리가 거의 없기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단으로 빠지거나 물류 쪽으로 빠지거나 하는 거지만

내 생각엔 정부나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캐드 자격증 같은 재능이 필요한 그런 일자리들이 아닌 실제로 공단에서 필요한 전기나 가스나 기계 쪽으로 자연스럽게 취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일자리 정책을 유도하게끔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사실 대한민국에 살면서 생산직이 아닌 사무직을 안 원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대부분 안되니 현장에서 밥 벌어먹고 얼굴이 역변해가면서도 버티고 또 버티는 거지.!!

근데 정부 일자리 정책이나 지방 자치장들은 표심을 잃는걸 별로 원하지 않기에

현장에서 원하는 인재 방향과 엇박자를 내다보니 미스매칭이라든지 그런 말이 떠도는 것이고.!!

내가 보기엔 앞으로도 계속 현장과 엇박자 나는 정책을 낼 거 같기에 걱정은 많이 된다.

728x90
반응형